게임

모바일게임 결제한도는 왜 규제하지 않을까?

우베르 2020. 3. 11. 07:00
반응형

왜? why? 

모바일 게임 결제한도

규제하지 않을까?

 

 

작년말에 pc 온라인게임 결제한도 규제가 풀렸습니다.

모바일게임과 형평성에 맞지 않고 게임사들이 모바일 게임에만 주력한다는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모바일 게임은 결제한도가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pc 온라인게임은 있었는데 말이죠.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유튜브를 통해 종종 보셨을 겁니다.

몇백, 몇천만 원을 투자해 뽑기 하는 영상을 말이죠.

이런 모바일 게임들이 사행성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과연 정말로 가슴에 손을 얹고 사행성이 아니라고 할 수 있을까요?

 

3%도 안 되는 확률에 엄청난 돈을 쏟아붓는 게 정말로 사행성이 아닐까요?

대표적인 게임이 있죠.

제가 무과금으로 플레이하고 있는 게임사의 게임들이 아주 대표적입니다.

 

중국산 양산 게임들 중에서는 과도한 과금 상품을 팔고 얼마 동안 게임을 서비스하다가

서비스 종료하는 게임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이런 게임들에 과도하게 결제를 하는 우리들도 잘못이 있지만,

모바일 게임 결제한도를 정해놓지 않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책임도,

모바일 게임을 즐기는 유저를 개, 돼지, 호구로 보는 게임사의 책임 있다고 봅니다.

 

게임 결제를 하지 않으면 게임사는 수익이 나지 않아서 게임 개발을 하지 못하게 되는 거 다들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도 이상의 과금 상품, 아주 낮은 확률성 상품, 과금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아이템 등을 위해

일반 유저들이 한 달에도 몇백, 몇천만 원을 과금할 수 있을까요?

아닐 겁니다. 과도한 확률 패키지에 지쳐서 떠나게 될 겁니다.

 

모바일 게임 유저들이 바라는 점은 하나일 겁니다.

사행성을 조장하는 확률형 패키지를 무분별하게 내놓지 않는 것입니다.

 

10~20대의 유저들이 좋아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너무나도 차이가 있습니다.

리그 오브 랜드 일명 롤은 게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스킨 즉 캐릭터의 외향을 결제를 통해 구입합니다.

과금 유저와 비과금 유저와의 게임 내에서 차이가 외형뿐이라는 것이죠. 능력치에는 차이가 없어 공평한 것이죠.

 

이렇게 서로에게 좋은 윈윈 하는 과금 형태가 존재하지만, 보통의 모바일 게임사들은

확률형 패키지 상품을 통한 매출 극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아주아주 안타깝습니다.

게임사들이 자발적으로 사행성 확률 패키지를 판매하지 않는 날이 오지는 않을 겁니다.

그렇다면 문화체육관광부, 또는 정부에서 어느 정도 규제를 해주었으면 합니다.

 

정말로 모바일 게임 결제한도를 규제해주었으면 합니다!!

 

두서없이 너무 생각나는 데로 포스팅했네요. ㅎ

밑에는 관련기사 링크입니다.

 

결제한도 없는 확률형 모바일 게임 족쇄 채우자?

 

결제한도 없는 `확률형 모바일 게임` 족쇄 채우자?

`현질 제한` 국민청원 6800명 동의`리니지M` 등 게임사 사행성 지적업계, 타격 우려에도 일부 `긍정적`게임업체의 도 넘은 현질(현금으로 게임 아이템을 구매하는 행위) 유도를..

www.kyeongin.com

 

 

 

 

문체부 장관 "게임 규제 심해... 결제한도 제한 폐지

 

박양우 문체부 장관 "게임 규제 심해...상반기 내 월 결제한도 제한 폐지"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상반기안으로 성인 한명당 월 50만원인 PC게임 결제한도를 폐지할 방침이다.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9일 경기도 판교에..

biz.chosun.com

 

 

포스팅의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을 부탁드립니다.

구독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과 용기가 됩니다.

반응형